Wish You Were Here

덤프버전 : r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음반의 타이틀 곡에 대한 내용은 Wish You Were Here(노래) 문서
Wish You Were Here(노래)번 문단을
Wish You Were Here(노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파일:pink-floyd-logo-white.png

데이비드 길모어

[ 데뷔 이전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f 45%, #fff 55%, transparent 55%); width: 9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Studio Album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Live Album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Compilation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Non-album Single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관련 문서 ]





Wish You Were Here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11위
2012년}}}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012년 211위 2020년 264위
}}}













파일:wxpn2021.jpg
WXPN 선정 2021대 명반

{{{#000,#fff 40위
2022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9931f><tablebgcolor=#dedbb5,#191919><width=220><#b18904>
파일:wxpn2021.jpg

2022년 40위
"연도3=display:none@"
@연도3@년 @순위3@위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212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31위
1998년}}}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1998년 31위 2000년 38위
}}}













파일:StuBru_logo.png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0위
2014년}}}
>
파일:StuBru_logo.png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014년 20위 2015년 17위
16위


빌보드 200 역대 1위 앨범
Red OctopusWish You Were Here(2주)Windsong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Atlantic Crossing,
전번_아티스트=로드 스튜어트,
이번_앨범=Wish You Were Here,
이번_아티스트=핑크 플로이드,
1위_기간=1주,
후번_앨범=Atlantic Crossing,
후번_아티스트=로드 스튜어트)]


Wish You Were Here
파일:Wish_You_Were_Here.jpg
발매일1975년 9월 12일
녹음일1975년 1월 13일7월 28일
장르프로그레시브 록, 아트 록
재생 시간44:28
곡 수5곡
프로듀서핑크 플로이드
스튜디오애비 로드 스튜디오
레이블파일:harvest records logo.png
싱글 발매곡Have a Cigar(B면: Welcome to the Machine)[1]
참여자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상세
4. 트랙 리스트
5. 참여진
6. 여담


1. 개요[편집]


How I wish, how I wish you were here.
아, 가 여기 있기를 얼마나 바라는지.

Wish You Were Here 가사 中

레코딩 세션이 시작되었을 때, 우리는 거기 있지 않았으면 했고, 어딘가 다른 곳에 있길 바랐다.

로저 워터스, 1993
1975년에 발매된 핑크 플로이드의 9번째 정규 앨범이다. 1975년 1월부터 7월까지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고, 1975년 9월 15일에 발매되었다. 롤링 스톤 최고의 음반 500선에서 209위에 랭크되었다. 이 음반은 이전의 밴드 리더이자 멤버였던 시드 바렛을 기리는 앨범이며, Shine on You Crazy Diamond 와 타이틀 트랙에서 그런 면이 드러난다.

2. 상세[편집]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후속작을 만들며, 핑크 플로이드는 그들의 실험 정신을 드러내었다. 녹음 처음에는 Household Object(가정용 물건)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즉 집안 물건들만 이용하려는 계획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는 녹음/공연 난이도 문제 때문에 결국 무산됐다.[2] 당시 투어는 그룹을 녹초로 만들었고, 이와 동시에 로저 워터스가 음반 사업을 더 증오하게 만들었다. 핑크 플로이드가 아레나 사이즈의 대규모 상품으로 포장 되면서, 그의 증오는 더욱 강해졌다.

앨범 녹음과 관련된 한 일화로 시드 바렛은 앨범 작업이 한창 진행중이던 6월에 예고 없이 스튜디오를 방문했는데, 이는 앨범 전체에서 드러나고 있는 절망감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했다, 왜냐하면 스튜디오에 들어선 뚱뚱한 대머리 남자가 누구인지 알아봤던 사람이 아무도 없었던 것이다.[3] 힙노시스가 만든 아트워크는 앨범 속에 나타난 고립과 거리감이라는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다.

이 앨범은 1975년 9월에 공개된 후 초반에는 언론에 의해 엇갈린 평을 받았으나, 영국미국에서 차트 1위를 기록하면서 재평가 받아 현재 Dark Side of the Moon, The Wall과 함께 대표적인 핑크 플로이드 음반으로 꼽히는 음반이다. 흔히 핑크 플로이드 3대 명반을 꼽으라 하면 위 두 앨범에다가 이 앨범을 추가한다. 롤링 스톤 명반에서도 265위에 랭크되었다. 이는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중 4번째로 높은 순위다.[4]

전세계적으로 약 2,000만장정도 팔렸으며, 이는 핑크 플로이드 사상 3번째로[5] 많이 팔린 앨범이다. 또한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에도 이름을 올리고 있다.

3. 앨범 커버[편집]


파일:Wish You Were Here S.jpg
파일:6D962397-7AEC-4E7B-A806-6D8A52D612D9.jpg
초판에 덮여 있던 랩영국 초판 뒷면 커버[6]
파일:7FBEED19-D4AE-434B-B6D3-D0D8811E1729.jpg
파일:F990EBDC-99EC-43D0-8590-DA794F88D833.jpg
영국 초판 속지영국 초판 속지 2[7][8]
파일:56731EDF-25CA-413E-8890-17BEA5841588.jpg
파일:297C844D-6FF5-4F25-AD58-C415950D0581.jpg
미국 초판 커버[9]2011년 SACD 커버.
힙노시스가 디자인 했다. 메인 커버의 불타는 사람은 합성이 아니라, 실제 스턴트맨의 몸에 불을 붙인 것이다.[10] 촬영 당시 바람이 의도했던것과 반대 방향으로 불어 스턴트맨의 수염이 타버렸고, 반대 방향으로 다시 사진을 촬영했다고 한다. 촬영 장소는 할리우드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방탄소년단 불타오르네 뮤직비디오에서 슈가가 검은 옷을 입은 남자와 악수하는 장면은 이 앨범의 앨범 아트오마주한 것이다. #

메트로 부민의 앨범 HEROES & VILLAINS의 앨범커버도 이 앨범커버에서 따왔다.

4. 트랙 리스트[편집]


Wish You Were Here>
Track listing
[ 펼치기 · 접기 ]
곡명작사작곡러닝타임
Side A
1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I–V)워터스워터스, 라이트, 길모어13:32
2Welcome to the Machine워터스워터스7:28
Side B
1Have a Cigar워터스워터스5:08
2Wish You Were Here워터스길모어, 워터스5:35
3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VI–IX)워터스길모어, 라이트, 워터스12:28
파일:pink-floyd-logo.png


파일:2578D9DF-37C3-4160-B8CF-E0AF4D1073CD.jpg
영국 초판 레이블

4.1. 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I–V)[편집]


Shine on You Crazy Diamond (Pts. 1-5)
13m 31s

Remember when you were young, you shone like the sun
네가 어렸을 때를 기억해 봐, 너는 태양처럼 빛이 났었지
Shine on you crazy diamond
계속 빛나라, 미치광이 다이아몬드여
[ 펼치기 · 접기 ]


Written by 로저 워터스

Composed by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리처드 라이트


4.2. Welcome to the Machine[편집]


Welcome to the Machine
07m 31s

And you know you're nobody's fool
넌 아무에게도 놀아나지 않아
So welcome to the machine
그러니, 기계에 온 걸 환영해
[ 펼치기 · 접기 ]



Written/Composed by 로저 워터스


4.3. Have a Cigar[편집]


Have a Cigar
05m 07s

And did we tell you the name of the game, boy
그리고 우리가 가장 중요한 걸 알려주었던가
We call it riding the gravy train
그건 한마디로 돈을 쉽게 쓸어담는 거야
[ 펼치기 · 접기 ]



Written/Composed by 로저 워터스


4.4. Wish You Were Here[편집]


Wish You Were Here
05m 34s

What have we found?
우리가 무엇을 찾아냈을까?
The same old fears
그때의 그 공포뿐이야
Wish you were here
네가 여기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 펼치기 · 접기 ]


Written by 로저 워터스

Composed by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4.5. Shine On You Crazy Diamond (Parts VI–IX)[편집]


Shine on You Crazy Diamond (Pts. 6-9)
12m 27s

Come on you boy child, you winner and loser
이리로 오라, 꼬마 아이여, 승리자이자 패배자여
Come on you miner for truth and delusion, and shine!
이리로 오라, 진실과 망상을 캐는 광부여, 그리고 빛나라!
[ 펼치기 · 접기 ]


Written by 로저 워터스

Composed by 리처드 라이트,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5. 참여진[편집]


괄호 안의 번호는 트랙 번호이다.


6. 여담[편집]


  • 핑크 플로이드의 두 번째 컨셉트 앨범이다. 시드 배릿이 떠나감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 (Shine on You Crazy Diamond, Wish You Were Here) 뿐만 아니라, 음반 산업에 대한 비판 (Welcome to the Machine, Have a Cigar) 등의 주제도 다루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9:18:23에 나무위키 Wish You Were Her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국을 제외한 일부 국가에서만 발매됨[2] 하지만 앨범에 이 프로젝트에 영향이 남아있은데, 처음 곡의 오프닝은 젖은 손가락으로 와인 잔 가장자리를 만질 때 나는 윙윙거리는 소리를 다중으로 녹음한 사운드로 시작한다(이 앨범에서 유일하게 ‘집안 물건’을 이용해 녹음한 부분이다)[3] 남무성 저의 Paint It Rock과 같은 몇몇 매체에선 반대로 피골이 상접했다고도 하는데, 일단 시드 바렛 문서의 사진을 보면 뚱뚱한 대머리 쪽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4] Wish You Were Here를 제치고 3위를 차지한 것은 시드 바렛 시기 제작된 1집이다. NME 500대 명반에서는 1집이 2번째로 높은 순위에 올랐으며 The Wall과 Wish You Were Here는 탈락했다.[5] 1위는 The Dark Side of the Moon(4,500만장), 2위는 The Wall(3,000만장)[6] 얼굴 없는 사람은 공허함과 부재를 의미한다.[7] 중간에 물결이 없는 다이빙 사진은 부재를 의미한다.[8]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모노 호수에서 촬영됐다고 하며, 촬영된 인물은 다이빙이 아니라 물구나무서기를 하면서 물결이 사라지길 기다려야 했다고(...)[9] 불타는 사람의 자세가 다르다[10] 이러한 점 때문에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전작보다는 패러디가 덜 되는 편이다.